#14-2 / nio ⚡ Files(nio 형태) 이용한 파일 내용을 배열에 저장 File : io / Files : nio(Buffer 장착) => (https://dev-eunse.tistory.com/3) 참고io,nio 둘중 하나만 사용 ! - 알아서 선택Files : new 작성할필요 x - 어차피 메모리에 저장되기때문에- nio 방식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url = "D:\\webpage\\agree\\src\\main\\java\\io\\agree.txt"; try { //List interface 구성 형태로 nio 배열 저장 List data = new ArrayList(); //List로만 사용 가능 .. 2024. 5. 21. byte단위 배열 데이터 출력 ⚡ byte를 이용한 배열형태 -> 문자열로 변환String word = "abc";byte data2[] = word.getBytes(); //ASCII 코드로 배열에 저장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data2)); //[97, 98, 99] 출력String unbox = new String(data2); //언박싱System.out.println(unbox); //abc 출력 2024. 5. 21. #14-1 / FileReader => Buffer Buffer : 메모리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출력 또는 입력(temp : 임시저장소)buffer는 기억하는애FileReader fr = new FileReader(url);System.out.println((char)fr.read());//파일을 읽을때 해당 방식은 텍스트 파일의 한글자만 출력됨..▶ 이걸 개선한게 Buffer ⚡ BufferFileReader fr = new FileReader(url);BufferedReaderbr = new BufferedReader(fr); ( 이걸 맞춰주면 에러날일 X , buffer가 먼저 나올 순 없음)👀주의- reader(or write) 선언 후 buffer 선언- Buffer는 임시 저장된 공간의 데이터이므로 read 또는 readLine() 사용시 .. 2024. 5. 21. 12. io와 nio의 차이점 https://dev-coco.tistory.com/42https://velog.io/@jihoson94/BIO-vs-NIOhttps://blog.naver.com/rain483/220636709530 👀 io블로킹 방식Blocking API란 API를 호출한 Thread가 API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다른 동작을 하지않는 API를 블록킹이라고 합니다.하나의 thread가 read() or write()를 발생시킬때, 해당 thread는 데이터를 읽을 때까지 혹은 데이터를 적을때까지 blocked. 막혀있습니다.Blocking API들은 반환값을 받을 때까지(작업이 끝날 때) Blocking 되기 때문에 해당 Thread는 idle상태로 유지되게 됩니다. -IO 스레드가 블로킹되면 다른 일을 할 수 없.. 2024. 5. 21.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77 다음